전자입국신고가 궁금해요! <e-Arrival card>Q&A 1편
작성일
2025.03.17
조회수
252
담당부서
대변인실
담당자
홍보담당관
공공누리
4유형
전자입국신고가 궁금해요! <e-Arrival card>Q&A 1편 첨부 이미지

전자입국신고가 궁금해요! e-Arrival card Q&A 1편 카드뉴스의 첫번째 페이지입니다. 총 일곱 페이지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두번째 페이지입니다. 이번 한국 여행에서 전자입국신고를 사용해 볼까! 궁금한 점에 대해 알려줄게!


세번째 페이지입니다. Q. 대한민국 전자입국신고(e-Arrical card) 이용 대상자는? 입국신고서 제출 대상과 동일합니다. 관광객 등 대한민국에 90일 이하 단기 체류 목적으로 입국하는 외국인, 장기체류 목적으로 입국하더라도 아직 국내에 외국인등록을 마치지 않은 외국인. (단, 대한민국 국민은 입국 신고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입국신고서(전자입국신고서 포함) 제출이 필요하지 않는 외국인은? 1. 유효한 k-eta 허가서 소지자, 2. 단체(전자) 사증 소지자, 3. 국내에 외국인등록을 마친 외국인(영주증 소지자, 국내거소신고자 포함), 4. 항공기 승무원 등. 추가로, 입국신고서 작성 대상 여부는 전자입국신고 페이지 'e-Arrical card 내비게이터' 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번째 페이지입니다. Q. 전자여행허가제(K-ETA) 허가를 받은 외국인도 전자입국신고(e-Arrical card) 대상인가요? k-eta 허가서의 유효기간이 남아있다면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전자여행허가제(k-eta) 유효기간은 3년입니다. Q. 전자입국신고서 작성 시 미리 준비할 사항이 있나요? 아래 정보만 미리 확인해주세요. 1. 유효한 여권. 2. 정확한 이메일 주소. 3. 국내 체류 정보 (체류예정지 및 연락처) 4. 입국예정일자 및 항공편명, 선명. 5. 출국예정일자 및 항공편명, 선명.


다섯번째 페이지입니다. Q. 여권정보를 입력할 때 유의사항이 있나요? 여권의 인적사항이 나오는 면을 촬영하거나 사진을 업로드하면 여권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참고, 여권정보 자동입력을 위한 유의사항. 여권에서 사진과 인적사항이 나오는 면을 촬영하거나 이를 찍은 사진 파일을 업로드하면 여권 판독 OCR 기능이 적용되어 인적사항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여기서 OCR이란? 광학식 문자 판독(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으로,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사진(파일)에는 반드시 위 점선 부분(Machine Readable Zone)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여섯번째 페이지입니다. Q. 전자입국신고서를 가족이 일괄적으로 한 번에 작성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다만, 대한민국 도착일과 입항편명이 동일한 경우에 가능합니다. 신고할 인원이 10명 이상일 경우, PC를 이용하시면 보다 편리하게 전자입국신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Q. 대한민국에 입국하려는 단체관광객입니다. 여행사에서 전자입국신고서를 대신 제출해도 되나요? 가능합니다. 다만, 대리인이 작성 및 제출한 것도 본인이 한 것으로 간주되며, 잘못된 정보가 기재된 경우에는 대한민국 입국 심사 시 심사 지연, 입국불허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마지막 페이지입니다. Q. 대한민국에 체류할 주소가 두 군데 이상입니다. 어떤 주소를 입력하면 되나요? 대표적으로 체류하게 될 한 곳을 기재하시면 됩니다. 대표적으로 체류하는 곳이 없다면 입국 후 최초로 체류하게 되는 곳을 기재하시기 바랍니다. 더 궁금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확인해보세요! 홈페이지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www.e-arrivalcard.go.kr. 끝.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이전글
온라인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대한민국 전자입국신고 e-Arrival card>가 시행됩니다. 2025-02-24 13:28:17.0
다음글
전자입국신고가 궁금해요! <e-Arrival card>Q&A 2편 2025-03-18 13:37:18.0
법무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법무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법무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3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법무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